본문 바로가기

📝자격증/SQLD3

[SQLD] 1-2. 데이터 모델과 SQL 제 1과목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2. 데이터 모델과 SQL 1) 정규화 2) 관계와 조인의 이해 3)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4) Null 속성의 이해 5) 본질식별자 vs 인조식별자 * 설계도를 보고 어떤 구조인지 이해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. 1) 정규화 : 데이터에 대한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가 관심사별로 처리되도록 엔터티를 쪼개 성능을 향상 시키는 활동 (↔ * 반정규화) 입력/삭제/수정은 성능 향상, 조회는 성능 향상 혹은 저하될 수 있다. (* 반정규화 : 정규화한 데이터를 다시 함쳐 중복되기 하거나 통합, 분리등을 수행하는 모델링 방식, 2024 개편되면서 반정규화에 대한 내용이 없어진 듯..?) * 함수적 종속 : 어떤 기준값(컬럼)에 의해 데이터가 종속되는 현상을 의미 ex) .. 2024. 2. 24.
[SQLD] 1-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제 1과목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) 데이터 모델의 이해 2) 엔터티 3) 속성 4) 관계 5) 식별자 1) 데이터 모델의 이해 ● 데이터 모델 : 현실세계의 대상을 추상화, 명확화, 단순화하여 데이터베이스로 표현하는 것 ● 데이터 모델링 :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 (요구사항 파악 ▶ 개념적 데이터 모델 설계 ▶ 논리적 데이터 모델 설계 ▶ 물리적 데이터 모델 설계) - 계획/분석/설계 시 업무 분석 및 설계, 설명에 사용 - 구축/운영시 변경,관리 목적으로 사용 - 파급효과, 간결한 표현, 데이터 품질(데이터 중복/비유연성/비일관성) 개념적 모델링 추상적, ERD 생성, 업무중심, DBMS 독립적 논리적 모델링 Key 속성, 정규화 수행, .. 2024. 2. 23.
[D-17] 2024 SQLD(52회) 준비, 달라진 점 설마설마 이걸 3번째 보게 될 줄 몰랐다. 학원 다니면서, 공부하면서 틈틈히 준비했었는데 1개?! 차이로 두번이나 떨어졌고 이것만큼은 꼭 따고 싶어서 3번째 도전을 시작한다! ※ SQLD란? https://www.dataq.or.kr/www/sub/a_04.do 데이터자격시험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은 데이터베이스를 직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언어로, 데이터를 정의하고(Data Definition), 조작하며(Data Manipulation), 조작한 결과를 적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고(Transaction Con www.dataq.or.kr 누군가 나에게 ' 왜 따는 거냐 ' 물어본다면 1. 비전공자 개발자 지망생으로서 자격 증명하기 좋다고 생각 2. Spring JPA를.. 2024. 2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