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해외송금
- SQLD
- 일본재류자격
- jsp
- 크로스하우스
- 크로스하우스송금
- 일본어 시제
- coe필요서류
- 일본회사합격
- 모인
- set
- 일본출국준비
- SQL
- coe준비물
- 일본회사내정
- list
- coe타임라인
- 일본회사특징
- 크로스하우스모인
- 일본어학원후기
- 일본개발자면접
- jquery
- map
- 일본크로스하우스
- Java
- 컬렉션리스트
- 일본개발자
- javascript
- 일본it회사
- 전화일본어후기
- Today
- Total
목록BE/JAVA (8)
분명 잔 것 같은데 졸리다
수정할 수 없는 컬렉션: 수정할 수 없는 컬렉션이란, 요소를 추가&삭제할 수 없는 컬렉션을 의미하며 컬렉션 생성시 저장된 요소를 변경하고 싶지 않을 때 유용하다. 수정할 수 없는 컬렉션 만드는 방법 3가지 1) list, set, map를 정적메소드인 of()로 생성할 수 있다.// 1) 정적메소드 of()사용 // list 불변 List noAdd = List.of("A", "B", "C"); // noAdd.add("D"); //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 할 수 없다. System.out.println(noAdd); // set 불변 Set noChange = Set.of("A", "B", "C"); // map 불변 (참고로 map은 출력시 랜덤하게 나온다) Map..

1) LIFO (Last In First Out)- 후입선출, 나중에 넣은 객체가 먼저 빠져나가는 구조-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LIFO 자료구조를 제공하는 Stack 인터페이스를 제공함- 대표적인 예 : JVM 스텍 메모리 ※ push() : 데이터 넣기 , pop() : 데이터 빼기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ack coinBox = new Stack(); // 동전 넣기 coinBox.push(new Coin(100)); coinBox.push(new Coin(50)); coinBox.push(new Coin(500)); coinBox.push(new Coin(10)); // 동전 하나씩 꺼내기 while (!coinBox.isE..
* 컬렉션 프레임워크: 자바는 널리 알려진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를 바탕으로 객체들을 효율적으로 추가,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관련된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들을 java.util패키지에 포함시켜 놓았다. 이들을 총칭해서 컬렉션 프레임 워크라고 한다. 1. list (ArrayList, Vector, LinkedList): 순서를 유지하고 저장, 중복저장 가능 2. set (HashSet, treeSet) : 순서를 유지하지않고 저장, 중복저장 불가능 3. map (HashMap, HashTable, TreeMap, Properties) : 키와 값으로 구성된 엔트리 저장, 키는 중복저장 불가능※ 인터페이스 컬렉션 특징- List와 Set은 객체를 추가, 삭제,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통점이 ..

" HTTP 요청과 응답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스프링 애노테이션 " @ResponseBody : 컨트롤러 메서드가 반환하는 데이터를 HTTP 응답의 본문(body)으로 직접 전송하도록 지시 (자바 객체를 응답 본문의 객체로 변환 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 데이터 전송) - 주로 JSON, XML등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응답할 때 사용된다 - 메서드 레벨에 사용할 경우, 해당 컨트롤러의 모든 메서드가 기본적으로 @ResponseBody 동작을 갖게 되며, 특정 메서드에만 적용하려면 해당 메서드에 애노테이션을 적용 @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{ @RequestMapping("/example") @ResponseBody public String ..
● LIFO 컬렉션 (후입선출) : 나중에 넣은 객체가 먼저 빠져나가는 자료구조 ○ Stack 클래스 : LIFO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 - push(객체) : 주어진 객체를 스택에 넣는다. - peek() : 스택의 맨 위 객체를 가져옴, 객체를 스택에서 제거하지 않는다. - pop() : 스택의 맨 위 객체를 가져옴, 객체를 스택에서 제거한다. ● FIFO 컬렉션 (선입선출) : 먼저 넣은 객체가 먼저 빠져나가는 구조 ○ Queue 인터페이스 : FIFO 자료구조에서 사용되는 메소드를 정의 ex) 먼저 넣은 메시지가 반대쪽으로 먼저 나오기 때문에 넣은 순서대로 메시지가 처리된다. - offer(객체) : 주어진 객체를 넣는다. (boolean 리턴 타입) - peek() : 객체 하나를 가져옴, 객..
● 인터페이스(Interface) : 객체의 사용 방법을 정의한 타입, 생성자를 가질 수 없다. class 대신 interface 클래스 사용 (상수 필드와 추상 메소드만을 구성 멤버로 가짐, 실행 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.), 구현 시 implements 사용, 클래스와 달리 (인터페이스 간에도) 다중상속이 가능하다. - 상수 필드 : public static final - 추상 메소드 : 호출된 메소드는 최종적으로 객체에서 실행됨, 실행 블록이 필요 없는 추상 메소드로 선언 ● 예외 (Exception) :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, 예외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정상 실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. 자바에서는 예외를 클..
●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) : 제품을 만들 때 부품을 먼저 개발하고 이 부품을 하나씩 조립해서 제품을 완성하듯이, 객체를 만들어 조립하여 개발하는 프로그래밍 ○ 객체 :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식별 가능한 것 ○ 클래스 :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필드와 메소드가 정의되어 있음 (자바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음) - 필드 : 객체의 정보를 저장 - 생성자 : new 연산자로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는 블록 - 메소드 : 선언부와 실행블록으로 구성, 객체 간의 데이터를 전달하며 호출 시 블록 안의 코드들이 일괄적으로 실행됨 ○ 인스턴스 :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(여러개 만들어질 수 있다) - 인스턴스(Instance) 멤버 : 객체마다 가지고 있는 멤버 (객체가 있어야 호출 가능)..
● JAVA : 객체지향 프로그래밍(반대는 구조적/절차적 프로그래밍) 언어로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다. - 변수 :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붙이는 이름 ○ 기본타입 : 정수(byte, char('a', "aaa"), int(기본), long), 실수(float, double(기본)), 논리(boolean, (값 : true, false)) - 형변환 : 다른 타입으로 변환(큰=작은, 작은=(작은)큰) - 문자열을 기본타입으로 변환 : int a = Integer.parseInt(asd); - 기본타입을 문자열로 변환 : String a = String.valueOf(기본타입); ○ 입출력 - System.out.print("java") : 괄호 안의 내용 출력(연속으로 작성 시..